검색결과
'꿀풀과'
검색결과는 총 168 건 입니다.-
식물자료 124 건
-
구매가능
#아주가 '골드 라임'
Ajuga reptans 'Gold Lime'지면을 덮으면서 자라는 밝은 황금색 잎과 봄철 연한 자줏빛 분홍색으로 피는 꽃이 매력적이다. 가을철에는 오렌지빛 주황색으로 붉게 물들며 토양 유실이 우려되는 사면에 군락으로 심으면 안정화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
#바위히솝
Hyssopus officinalis subsp. aristatus키가 약 60cm까지 단정하게 자라는 반상록성 아관목 또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위를 향해 빽빽하게 자라는 생육형을 가지고 있으며 잎은 선 모양이다. 여름부터 초가을 사이에 깔때기 모양으로 피는 파란색 꽃이 매력적이다.
-
#히솝 '알바'
Dracocephalum officinale 'Alba'여러해살이풀로 여름부터 초가을에 걸쳐 피는 하얀색 꽃이 매력적이다. 2개의 잎술이 있는 관 모양의 하얀색 꽃이 소용돌이 모양으로 피며 단정하게 퍼져 자란다. 허브가든과 같은 주제원에 잘 어울리는 소재이다.
-
구매가능
#누린내풀 '스노우 페어리'
Tripora divaricata 'Snow Fairy'잎 가장자리의 연한 연두색과 크림색의 무늬가 화려하고 둥근 수형이 매력적이다. 잎을 비비면 진한 냄새가 나는 특징이 있다. 무늬원이나 드라이가든에 심으면 좋다.
PGMKGM -
구매가능
#백리향
Thymus quinquecostatus바닥에 낮게 기면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봄철 자잘하게 피는 꽃과 잎에서 나는 레몬 향기가 좋다.
KGM -
#램스이어
Stachys byzantina여러해살이풀로 잎 전체에 발달하는 은백색의 부드러운 털이 매력적이다. 여름철 올라오는 긴 꽃대에는 분홍빛 자주색의 꽃이 핀다.
PGMKGM -
#로즈마리
Salvia rosmarinus늘푸른 작은키나무로 살짝 만져도 전체에서 좋은 향기가 난다. 잎은 가늘고 길쭉한 모양으로 꽃잎은 두 장인 파란색 꽃이 핀다. 꽃말은 "기억, 영원한 사랑, 아름다운 추억, 나를 생각해요, 당신의 존재로 나를 소생시키다, 행복한 추억, 가정의 행복"이다.
PGMKGM -
#무늬긴병꽃풀
Glechoma hederacea 'Variegata'바닥을 덮으면서 왕성하게 자라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로 뿌리가 옆으로 뻗는다. 키는 약 15cm까지 자라며 여름철 자줏빛 파란색으로 피는 꽃이 매력적이다. 특히 잎의 가장자리에는 하얀색 무늬가 발달하여 꽃이 없는 시기에도 관상가치가 높다.
PGMKGM -
구매가능
#용머리
Dracocephalum argunense여러해살이풀로 잎은 마주나기하며 선 모양이고 끝이 둔하다. 잎 표면에는 윤채가 있고 뒷면 맥 위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뒤로 말린다. 밑부분의 잎은 잎자루가 짧고 보통 달걀모양으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약간 있고 잎겨드랑이에서 몇 개의 잎들이 모여 난다. 꽃은 여름철 줄기 끝에서 여러 개가 자주색으로 모여 핀다. 줄기는 짧은 뿌리줄기에서 모여나기하며 직립하는 원줄기는 네모 지는데 밑으로 굽은 백색 털이 있다.
PGMKGM -
구매가능
#배초향
Agastache rugosa여러해살이풀로 여름부터 가을까지 길쭉하게 직립하는 꽃대에 보라빛 색깔로 모여 피는 꽃이 아름답다. 특히 잎을 문지르면 진한 향기가 나며 벌과 나비가 많이 모여든다.
KGM
Loading...더보기
-
-
분류자료 44 건
-
열대지역을 제외한 북반구에 약 250여종이 분포하며 여러해살이풀로 자란다. 네모난 줄기가 직립하며 줄기 상부의 잎겨드랑이에서 분홍, 보라색의 꽃이 핀다.
-
꿀풀과 (Lamiaceae) 골무꽃속 (Scutellaria)
온대, 열대 산악 지역에 약 300종이 분포하며 여러해살이풀 또는 작은키나무로 자란다. 잎은 가장자리가 둥글지만 드물게 깃 모양으로 갈라지거나 톱니가 있는 점이 특징이다.
-
꿀풀과 (Lamiaceae) 곽향속 (Teucrium)
전 세계에 약 300종이 분포하며 잎이 지거나 늘푸른 작은키나무, 여러해살이풀로 자란다. 잎에서는 진한 향기가 나며 원뿔모양으로 발달하는 꽃차례가 특징이다.
-
꿀풀과 (Lamiaceae) 광대수염속 (Lamium)
한해살이풀 또는 여러해살이풀로 자라며 잎에는 톱니가 발달하며 이삭꽃차례에 관 모양의 작은 꽃들이 달린다.
-
꿀풀과 (Lamiaceae) 긴병꽃풀속 (Glechoma)
유럽의 산울타리와 삼림 지대에 약 12종이 분포하며 여러해살이풀로 자란다. 가리비 모양의 잎은 가장자리에 톱니가 발달하며 여름에는 두 입술을 가진 관 모양의 작은 꽃이 핀다.
-
꿀풀과 (Lamiaceae) 꽃범의꼬리속 (Physostegia)
동북아메리카에 약 12종이 분포하며 여러해살이풀로 자란다. 사각의 줄기와 톱니 모양의 잎이 교대로 마주난다.
-
꿀풀과 (Lamiaceae) 꿀풀속 (Prunella)
유럽, 아시아, 북아프리카, 북아메리카 등지에 약 7종이 분포하며 여러해살이풀로 자란다. 이삭꽃차례로 흰색, 분홍색 또는 보라색의 꽃이 핀다.
-
꿀풀과 (Lamiaceae) 누리장나무속 (Clerodendrum)
아프리카, 아시아 등지에 약 400종이 분포하며 낙엽/상록, 관목/교목/덩굴식물로 자란다. 잎에서 예전 영양제였던 원기소와 같은 진한 냄새가 나며 다육질의 뿌리줄기가 발달하는 점이 특징이다.
-
꿀풀과 (Lamiaceae) 라벤더속 (Lavandula)
카나리아 제도, 지중해, 아프리카, 인도 등지에 약 25종이 분포하며 늘푸른 작은키나무로 자란다. 길쭉한 꽃줄기를 가진 이삭꽃차례로 피는 향기로운 꽃이 특징이다.
-
꿀풀과 (Lamiaceae) 레몬밤속 (Melissa)
중앙아시아, 유럽 등지에 약 3종이 분포하며 여러해살이풀로 자란다. 줄기는 사각이고 잎은 마주나기하며 전체에서 향기가 나는 점이 특징이다.
-
꿀풀과 (Lamiaceae) 레오노티스속 (Leonotis)
남아프리카의 암석지대와 초원에 약 30종이 분포하며 한해살이풀, 여러해살이풀, 아관목, 작은키나무로 자란다. 줄기는 사각 모양이고 잎은 달걀을 닮은 피침 모양이며 2개의 관 모양 입술꽃이 돌려난다.
-
꿀풀과 (Lamiaceae) 로즈마리속 (Rosmarinus)
지중해에 2종이 분포하며 늘푸른 작은키나무로 자란다. 선 모양의 잎은 향기가 좋으며 잎겨드랑이에서 피는 꽃은 꽃잎이 두 장이다.
-
꿀풀과 (Lamiaceae) 모나르다속 (Monarda)
북미, 일본 등지에 약 15종이 분포하며 한해살이 또는 여러해살이풀로 자란다. 사각의 줄기에 잎은 마주나기 하며 줄기 끝에 꽃이 방사 모양으로 모여 핀다.
-
향기로운 허브류로 여름철 작은 관 모양의 흰색 또는 분홍색 꽃이 이삭꽃차례에 달린다.
-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등지에 약 25종이 분포하며 한해살이풀 또는 여러해살이풀로 자란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잎겨드랑이에 꽃이 모여 피고 향기가 강한 점이 특징이다.
-
꿀풀과 (Lamiaceae) 방아풀속 (Plectranthus)
아시아, 호주, 마다가스카르 및 태평양 섬에 약 400종이 분포하며 한해살이풀, 여러해살이풀, 작은키나무로 자란다. 잎은 달걀, 원, 심장 또는 가리비 모양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발달하며 관 모양의 두 입술 꽃은 이삭꽃차례, 원뿔모양꽃차례,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
꿀풀과 (Lamiaceae) 배암차즈기속 (Salvia)
온대와 열대 등지에 약 900종이 분포하며 늘푸른 또는 잎지는 한해살이풀, 두해살이풀, 여러해살이풀, 작은키나무로 자란다. 네모난 줄기에 붙는 홑잎 또는 홀수겹잎의 잎이 특징이다.
-
꿀풀과 (Lamiaceae) 배초향속 (Agastache)
한국을 비롯하여 중국, 일본, 미국, 멕시코 등지에 약 30종류가 분포하며 여러해살이풀로 자란다. 잎은 마주나고 꽃은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서 피며 식물체에서는 진한 향기가 난다.
-
유라시아에 약 350종이 분포하며 늘푸른 여러해살이풀 또는 작은키나무로 자란다. 마주나게 붙는 작은 잎은 달걀 또는 선 모양이고 줄기 끝에 발달하는 머리모양꽃이 특징이다.
-
꿀풀과 (Lamiaceae) 벌깨덩굴속 (Meehania)
아시아, 북아메리카 등지에 약 6종이 분포하며 여러해살이풀 또는 덩굴식물로 자란다. 사각 모양의 줄기에 5쌍 정도의 잎이 난다.
-
꿀풀과 (Lamiaceae) 사투레야속 (Satureja)
북반구 전역의 건조한 지역과 절벽에 약 50종이 분포하며 한해살이풀, 여러해살이풀, 아관목으로 자란다. 잎은 향기가 있는 선, 창, 직사각 또는 숟가락 모양이며 여름철 관 모양의 두 입술 꽃이 돌려나며 이삭꽃차례를 이룬다.
-
열대 아시아와 중앙 아프리카의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약 100종 이상 분포하며 여러해살이풀 또는 작은키나무로 자란다. 2개의 입술 꽃이 관 모양으로 피며 편평꽃차례에 달린다.
-
꿀풀과 (Lamiaceae) 석잠풀속 (Stachys)
아시아 온대 등지에 약 300종이 분포하며 여러해살이풀 또는 작은키나무로 자란다. 잎은 갈라지지 않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발달하며 꽃은 줄기 끝에 층층으로 달리는 점이 특징이다.
-
유럽, 북아메리카, 아시아 등지에 약 100종이 분포하며 잎이 지거나 늘푸른 여러해살이풀, 관목, 반관목으로 자란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으로 연한 녹색을 띠며 자주색 털이 발달한다.
-
꿀풀과 (Lamiaceae) 오레가노속 (Origanum)
지중해, 남서아시아 등지에 약 20종이 분포하며 잎이 지거나 늘푸른 여러해살이풀로 자란다. 매트 형태로 땅바닥에 포복하며 자란다. 분홍색, 보라색의 꽃이 피며 향기가 좋다.
-
꿀풀과 (Lamiaceae) 용머리속 (Dracocephalum)
유라시아, 북아프리카, 북아메리카 등지에 약 45종이 분포하며 한해살이풀, 여러해살이풀, 아관목으로 자란다. 바닥을 빽빽하게 덮으며 자라는 모습과 한쪽 방향으로 꽃입술을 내미는 관 모양의 꽃이 특징이다.
-
꿀풀과 (Lamiaceae) 익모초속 (Leonurus)
유럽, 아시아, 뉴질랜드, 하와이, 칼레도니아, 북/남아메리카 등지에 약 20종이 분포하며 여러해살이풀로 자란다. 잎은 마주나게 붙고 위아래로 교차하며 줄기 단면은 네모로 각이 진다. 잎겨드랑이 사이에 꽃은 돌려나며 보라색, 분홍색으로 핀다.
-
꿀풀과 (Lamiaceae) 작살나무속 (Callicarpa)
동아시아, 북아메리카의 열대, 온대 등지에 약 140종이 분포하며 낙엽/상록, 관목/소교목으로 자란다. 꽃은 잎겨드랑이에 취산꽃차례로 붙으며 꽃통은 짧고 끝이 4개로 갈라진다. 구슬 모양으로 모여 달리는 둥글고 작은 열매가 특징이다.
-
유럽과 아시아에 약 40종이 분포하며 한해살이풀, 여러해살이풀로 자란다. 꽃은 작은 잎의 겨드랑이에서 나와 위로 곧게 핀다.
-
꿀풀과 (Lamiaceae) 층꽃나무속 (Caryopteris)
동아시아 등지에 약 6종이 분포하며 잎지는 여러해살이풀 또는 작은키나무로 자란다. 마주나게 붙는 잎, 잎 가장자리에 발달하는 톱니, 잎 겨드랑이나 줄기 끝에 촘촘하게 붙는 꽃차례가 특징이다.
-
꿀풀과 (Lamiaceae) 콜쿠호우니아속 (Colquhounia)
히말라야와 중국에 약 5종이 상록 또는 반상록 작은키나무, 아관목으로 자란다. 쌍을 이루는 잎의 가장자리는 톱니가 발달하고 2개의 입술 모양 꽃이 관 모양을 이루면서 돌려난다.
-
꿀풀과 (Lamiaceae) 클리노포디움속 (Clinopodium)
아시아, 아메리카 및 유럽에 약 100종이 분포하며 한해살이풀, 여러해살이풀, 작은키나무, 큰키나무로 자란다. 잎은 다양한 모양으로 발달하며 관 모양의 꽃이 돌려난다.
-
꿀풀과 (Lamiaceae) 프로스탄테라속 (Prostanthera)
호주의 다양한 서식지에 약 50종 이상 분포하며 늘푸른 작은키 또는 중간키나무로 자란다. 잎은 진녹색으로 강한 향기가 나며 늦봄이나 초여름 경 컵 모양의 흰색, 파란색 또는 자주색 꽃이 끝부분에 원뿔모양꽃차례 또는 총상꽃차례에 모여 달린다.
-
꿀풀과 (Lamiaceae) 피크난테뭄속 (Pycnanthemum)
북미 지역에 약 20종이 분포하며 향기가 있는 여러해살이풀로 자란다. 잎은 회녹색이며 관 모양의 두 입술 꽃이 모여 핀다.
-
꿀풀과 (Lamiaceae) 향유속 (Elsholtzia)
아시아에 약 35종이 분포하며 잎이 지거나 반상록의 작은키나무, 아관목, 한해살이풀, 여러해살이풀로 자란다. 전체에서 향기로운 냄새가 나며 꽃은 원뿔모양꽃차례로 가지 끝에서 곧게 서며 핀다.
-
꿀풀과 (Lamiaceae) 히솝속 (Hyssopus)
여러해살이풀 또는 늘푸른 작은키나무로 선 모양의 잎은 향기로우며 이삭모양의 꽃차례에 2개의 입술 꽃이 관 모양으로 돌려나면서 핀다.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