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수국속'
검색결과는 총 126 건 입니다.-
식물자료 124 건
-
구매가능
#바위수국
Hydrangea hydrangeoides잎이 지는 덩굴나무로 바위나 나무에 붙어서 자란다. 여름철 피는 흰색의 무성화가 매력적이다. 잎은 넓은 달걀모양으로 길이가 약 16cm에 달한다.
PGMKGM -
#산수국 '미란다'
Hydrangea serrata 'Miranda'산수국(H. serrata)과 비슷하지만 좀 더 작고 단정하게 자라는 점이 특징이다. 여름철 평평한 우산모양 꽃차례의 둘레에 발달하는 무성화는 토양 산도(pH)에 따라 연파란색에서 라일락빛 분홍색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AGM -
#떡갈잎수국 스노우 퀸 ('플레미게아')
Hydrangea quercifolia SNOW QUEEN ('Flemygea')키와 폭이 약 1.2~1.8m까지 자라는 잎지는 작은키나무이다. 5월부터 7월까지 약 30cm까지 꽃차례가 형성되는데 처음에는 하얀색이다가 점차 분홍색으로 변한다. 잎은 약 20cm까지 자라는데 가을철에 청동빛 자주색 또는 빨간색으로 물든다. 유기질이 풍부하고 적당한 습도와 배수가 잘되는 토양에서 잘 자란다. 다른 키작은나무류나 여러해살이풀과 함께 어우러지도록 식재해도 좋으며 화이트가든, 웨딩가든, 군락식재, 생울타리, 관목화단, 액센트식재, 드라이플라워 소재로 훌륭하다. 전년지에서 꽃이 피기 때문에 꽃이 진 후 곧바로 전정해주는 것이 좋다. 겨울철에는 갈색으로 벗겨지는 줄기의 관상가치가 높아 겨울정원 소재로도 훌륭하다. 원종과 비슷하지만 원뿔모양 꽃차례가 좀 더 화려한데 훨씬 더 크고 많은 무성화가 발달하며 비에 맞아도 잘 쓰러지지 않을 정도로 굳고 단단한 차이점이 있다.
AGM -
구매가능
#등수국
Hydrangea petiolaris덩굴지면서 자라는 수국으로 약 20m까지 자란다. 우리나라 울릉도를 비롯하여 남쪽 섬에 저절로 자라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주로 해안 및 산지에서 서식하는데 보통 양지를 좋아하지만 음지에서도 잘 자란다. 잎은 마주나기 하며 넓은 달걀모양 또는 둥근모양이고 가장자리에는 예리한 톱니가 발달한다. 꽃은 6-8월경 가지 끝에 지름 15-25cm 정도의 크기로 모여 핀다. 꽃차례의 바깥쪽에는 꽃잎처럼 보이는 꽃받침조각이 3-4개가 달리며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발달한다. 추위에 다소 약하기 때문에 중부지방에서는 담장정원(Wall Garden)이나 바람이 차단된 공간에 심으면 잘 키울 수 있으며, 남부지방에서는 크게 자라는 나무에 기대어 심어도 원시적인 느낌의 숲경관을 연출할 수 있다.
AGMPGM -
#나무수국 배니 패즈('렌히')
Hydrangea paniculata VANILLE FRAISE ('Renhy')키는 약 1.8-2.4m, 폭은 약 1.2-1.5m까지 가지가 직립하면서 둥근 모양으로 자란다. 꽃은 7월부터 꽃이 피기 시작하여 10월까지 지속되는데 길이 20-25cm의 커다란 원뿔모양꽃차례를 형성하며 처음에는 크림빛 흰색으로 피던 꽃이 딸기색을 띤 분홍색으로 변했다가 점차 분홍빛 진붉은색을 약 3-4주 정도 유지하다가 겨울철 갈색으로 변한다. 양지바른 곳에서도 잘 자라며 수국(H. macrophylla)보다 여름 가뭄과 석회암 토양에 훨씬 더 잘 견딘다. 부식질이 풍부하면서 습하고 배수가 잘되는 토양에서 잘 자란다. 단독으로 심어도 좋으며 도심지 정원, 컨테이너 가든이나 작은 프라이버시 생울타리를 만드는 데 식재해도 좋다. 모양을 다듬기 위해 늦겨울이나 초봄에 가지치기를 하는 것이 좋으며 초여름에는 녹지삽, 겨울철에는 숙지삽으로 번식할 수 있다.
-
#나무수국 화이트라이트
Hydrangea paniculata WHITELIGHT ('Hylv02')키가 약 1m까지 작고 단정하게 자라는 잎지는 작은키나무이다. 잎은 좁은 타원 모양으로 짙은 녹색을 띠며 가장자리에는 미세한 톱니가 발달한다. 한여름에서 늦은 여름에 작은 꽃들이 촘촘하게 원뿔 모양으로 모여 핀다. 꽃은 처음에는 연녹색을 띠다가 점차 시간이 지나면서 밝은 흰색, 그리고 분홍색으로 변한다. 단정하게 자라기 때문에 테라스 공간의 컨테이너 화분에 심어도 좋으며 꽃을 잘라 화병에 꽂아두거나 거꾸로 매달아 건조 시킨 후 드라이플라워로 이용해도 실내공간을 멋지게 꾸밀 수 있다.
-
구매가능
#산수국
Hydrangea serrata우리나라 산지의 그늘지면서 습한 계곡, 산골짜기, 바위틈에서 저절로 자라는 잎이 지는 작은키나무로 키가 약 1.2m 정도까지 자란다. 잎은 타원 또는 달걀모양으로 끝부분이 꼬리처럼 뾰족하며 길이는 약 5-15cm 정도 된다. 종명인 serrata에서 알 수 있듯이 잎 가장자리에는 날카로운 톱니가 발달한다. 꽃은 6-8월경 당년에 자란 가지 끝에 평평한 우산모양 꽃차례로 달리는데 둘레에는 무성화가, 중앙에는 자잘한 유성화가 모여 핀다. 강산성 토양에서는 파란색, 중성에서 알칼리성 토양으로 갈수록 진한 붉은색을 띤다. 추위에는 강해서 전국 어디에 심어도 문제없이 월동할 수 있다. 그늘지면서 서늘한 환경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숲정원에 군락으로 심으면 멋진 연출을 할 수 있다.
PGMKGM -
구매가능
#떡갈잎수국 '하모니'
Hydrangea quercifolia 'Harmony'잎이 지는 작은키나무로 키는 약 1.5m, 폭은 약 2.5m까지 옆으로 넓게 퍼지면서 둥글게 자란다. 잎은 루브라참나무처럼 가장자리가 깊게 갈라지는데 가을철 진한 빨강 또는 자주색으로 단풍이 든다. 특히 여름철 하얀색으로 아주 빽빽하고 통통하게 피는 겹꽃이 매력적인데 처음에는 연녹색을 띠다가 점차 흰색으로 핀다. 심지어 꽃송이가 너무 무거워 가지가 점차 아래로 늘어져 자라기도 한다. 양지바른 곳에서 꽃이 더 잘 피고 단풍색깔이 진하지만 그늘진 곳에서는 예쁜 잎이 더 크게 발달한다. 꽃이 풍성하기 때문에 절화용이나 드라이플라워로 이용해도 좋으며 실내 화분 또는 다소 그늘진 숲 하부층에 군락으로 식재하거나 생울타리로 식재해도 훌륭한 연출을 할 수 있다. 특히 이 품종은 2024년 (사)한국정원협회에서 공식 인증하는 우수정원식물인 KGM(Korea Garden Merit) Plants로 선정되었을 정도로 우리나라 조경 및 정원용 소재로 우수한 품종이다.
PGMKGM -
구매가능
#수국 '마리에시'
Hydrangea macrophylla 'Mariesii'잎이 지는 작은키나무로 키가 약 1.2-1.8m까지 둥글고 단정하게 자란다. 꽃은 6-8월경 연한 자줏빛 파란색으로 피는데 꽃잎처럼 보이는 꽃받침 조각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불규칙한 얕은 톱니가 발달한다. 꽃차례는 편평하게 펼쳐진 우산 모양을 이루는데 가장자리에는 크고 화려한 무성화, 중심부에는 유성화들이 자잘하게 모여 핀다. 다소 그늘지고 서늘하면서 습도가 높은 지역에서 잘 자란다. 꽃이 지고 나면 묵은 꽃대나 오래된 가지를 단정하게 정리하면 된다. 꽃을 잘라 화병에 꽂아두거나 거꾸로 매달아 건조 시킨 후 드라이플라워로 이용하면 실내공간을 멋지게 꾸밀 수 있다. 숲정원이나 그늘정원에 심으면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PGMKGM -
구매가능
#미국수국 '애나벨'
Hydrangea arborescens 'Annabelle'미국 일리노이주 애나 인근 야생에서 발견된 자연 발생 품종으로 원종인 미국수국(H. arborescens)보다 꽃송이를 훨씬 크게 피우며 전체가 무성화로 이루어진 점이 구별된다. 키는 약 1-1.5m, 폭은 1.2-1.8m까지 둥글게 자라며, 6월에서 9월까지 하얀색으로 화려하게 피는 둥근 머리 모양의 꽃차례는 약 20-30cm 정도에 달한다. 달걀 모양을 닮은 진녹색의 잎은 길이가 약 8-20cm에 달하고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발달한다. 하얀색으로 둥글게 모여 피는 꽃이 매력적으로 화이트가든이나 웨딩가든과 같은 순수한 테마공간을 조성하는데 좋다.
AGMPGMKGM
Loading...더보기
-
-
분류자료 2 건
-
수국과 (Hydrangeaceae) 수국속 (Hydrangea)
동아시아, 아메리카 등지에 약 80종이 분포하며 잎이 지거나 늘푸른 작은키나무, 덩굴식물로 자란다. 잎은 마주나게 붙으며 꽃은 가짜꽃을 포함한 작은 꽃들이 모여 편평하거나 원뿔모양꽃차례로 달리는 점이 특징이다.
-
수국과 (Hydrangeaceae) 바위수국속 (Schizophragma)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 2종이 분포하며 잎지는 덩굴식물로 자란다. 꽃차례 둘레에 열매가 열리지 않는 가짜 꽃이 있는 점이 특징이다.
-